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원본출처 : http://www.instructables.com/id/Electrolytic-Rust-Removal-aka-Magic/?ALLSTEPS

 

녹슨 공구나 장식물들에 이용하기 좋을 듯한 전기적 녹 분해 방법.

 

해석할까 했는데.. 뭐 주절주절 써놓기만 길게 써놨지 핵심은 그리 많지 않아서 간단하게 정리.

 

실제호 해볼 분은 꼭 원문을 보고 세세하게 잘 따라하기 바란다.

 

 

 

들통에 세로로 5개의 철근을 세워넣고 고정후 철근에 배선을 연결하고. 세정용 소다를 넣고

 

녹 제거할 물체를 중심부에 고정한 후 전기를 흘려준다.

 

제작자는 배터리 충전기를 사용할 것을 추천하는데, 만약의 쇼트에 대비할 수 있는 회로가 있기 때문.

 

쇼트에 대비할 수 있다면 다른 DC 전원기기로도 가능하다. (어쨋든 220V 그냥 쓰면 절대 안됨)

 

충전기의 +극을 철근에, -극을 녹제거할 물체에 연결하면 된다.

 

두 전극이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

 

배터리 충전기를 켜면 녹 제거가 시작된다. 제작자는 6V-1.5A 가 제일 적당했다고 함.

 

이렇게 하면 거품이 뽀글뽀글 올라오고 녹이 떨어진다고 한다.

 

전압/전류와 녹제거할 부품의 크기, 면적에 따라 1시간에서 2일까지 걸림.

 

녹이 심할 경우 브러쉬로 녹을 어느정도 제거해 주면 더 빨리 된다.

 

녹을 제거한 후 코팅제 등으로 보호해 주지 않으면 다시 녹이 슨다.

 

반응시 수소가 나오니 실외에서 작업할 것. 수소가 폭발성이 있긴 하지만 대량 발생하는것이 아니므로 안전하다.

 

 

본문의 세정용 소다는 베이킹 소다와 다른 것이라고

 

베이킹 소다를 사용하면 안된다고 해서 어디서 구하나 했더니

 

리플중 이런것이 있다.

 

Want to make your own "laundry soda"? Take baking soda, spread it out onto a cookie sheet and bake it in the oven at a little over 300 degrees for an hour or so it will drive away a water and CO2 molecule thus making washing soda.
At temperatures above 300o Fahrenheit (149o Celsius), baking soda decomposes into sodium carbonate, water, and carbon dioxide.
2NaHCO3 -> Na2Co3 + H20 + CO2
베이킹소다를 오븐에서 149'C 이상으로 구우면 세척용 소다가 된다는 예기

 

 

I used regular baking soda and it worked great. The rest of the setup was a Craftsman battery tender, about a half dozen 16 penny nails bunched up and held with a loop of wire. Had about 2" of baking soda left in the box and just dumped it all into about a 3 gallon pail.

그런데 다른 리플을 보면 그냥 베이킹 소다 썼는데 잘 된다고.. -_-;
이분은 철근도 필요없고 그냥 철못...

 

녹슨 공구들 해결하기 좋겠네요.

Posted by pashiran
TAG 취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고양이 매니아라면 누구나 생각해 봤을 아이디어.

 

실제로 나도 거의 10여년 전에 저런 제품을 생각해 본적이 있다..

 

만들기 어려운 것도 아니라 당시엔 자작할 생각을 했었는데 사실 고양이를 키우지 못하는 환경이라

 

필요가 없으니 그냥 생각만 하다 말았을 뿐.

 

고양이 키우는 분들이라면 사랑하는 고양이를 위해 하나쯤 장만해도 좋을듯

Posted by pashiran
TAG 취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http://blog.makezine.com/archive/2009/11/the_magic_clock_an_awesome_whereabo.html

 

해리 포터 이나 영화 를 본 사람들은 다 알겠지만

 

위즐리 집안에 있는 시계는 가족 구성원들이 집이나 회사, 기타 등등 어디 있는지

 

혹은 위험에 처해 있는지 알려주는 시계인데 그것을 실제로 재현해 내었다.

 

 

 

 

 

 

 

 

 

 

 

 

링크를 쫓아가 보면 아두이노 와 인터넷을 이용해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아이폰 같은 하드웨어의 경우 자기 위치를 기록하고 인터넷 전송이 가능하므로

 

양자를 병행시켜 더 자세하게 표시할 수도 있을 것 같다.

Posted by pashiran
TAG 취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원본출처 :

http://hacknmod.com/hack/near-space-photography-for-under-150/?utm_source=feedburner&utm_medium=feed&utm_campaign=Feed%3A+hacknmod%2FqjUG+%28Hack+N+Mod%29

 

 

개인기기의 발전이 눈부시다 보니,

 

백만원도 아니고 오십만원도 아닌 20만원 이하에 직접 우주 사진까지 찍을 수 있는 세상이다.

 

디지털 카메라가 발전하면서 대형 연에 싸구려 디카를 달아 항공사진을 찍는 DIY는 몇년 전에 본적이 있지만

 

시간이 더 지나다 보니 GPS 기술의 대중화로

 

http://news.d.paran.com/snews/newsview2.php?dirnews=804329&year=2009  이런 뉴스도 나오고

 

개인적으로 우주 사진에 관심이 많다면 국내에서도 얼마든지 도전이 가능할 듯 하다.

 

 

PDA 기반의 M4655 폰(현재 내가 사용중인) 같은 경우

 

중고가격이 4-5만원정도밖에 하지 않고

 

GPS 모듈(2-3만) 과 연결도 가능하다. 

 

무료 프로그램 중에도 GPS 로깅 되는 것들이 많다.

 

 

거기다 연속으로 사진을 찍게 하는 것은 쉽게 하려면 555타이머에 스위치 연결해서

 

몇천원짜리 회로기판 만들면 될 테고, 풍선만 달면..... 끝인가?

 

 

우주 공간의 가혹한 환경을 견디게 하는 하드웨어 케이스가 필요할지도 모르겠지만,

 

이정도만 되면 사실 핵심 부품은 끝난거나 다름없으니 진짜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려운것도 아니고

 

제작은 그리 어렵지 않을 듯 하다.

 

사실 문제는 이렇게 찍은 사진을 쉽게 회수하기가 상당히 힘들다는 것인데,

 

저 위 미국 친구들은 GPS 로그 신호를 받아서 기구가 추락하면 쫓아가 회수하지만

 

한국에서 날리면 십중팔구는 해외로 날라갈 가능성이 높은데

 

맘씨좋은 아저씨가 줏어서 다시 보내주기를 바라는 것은 기대할 수 없고

 

핸드폰이 직접 사진을 전송하도록 제작하던가 해야 할 것이다.

(노키아 5800이 내장사진을 직접 플리커에 전송하는 기능이 있던 것 같은데..?)

 

 

 

Posted by pashiran
TAG 취미
2011.09.22 15:26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http://www.instructables.com/id/A-Word-Clock/

 

Arduino 버전도 있다.

http://www.instructables.com/id/The-Word-Clock-Arduino-version/

 

 

 

 

8시 20분 전

 

 

한글로 구현해도 참 멋질 것 같은데,

 

 한글의 경우 저렇게 균일하게 모음과 자음을 배열하기가 좀 난해할 것 같다.

 

 

Posted by pashiran
TAG 취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http://www.instructables.com/id/A-fully-automatic-coffee-bean-roaster-Arduino/

 

 

 

 

온도 센서와, 릴레이를 조합해 팝콘기계를 제어해서 원두를 볶는 장치이다.

 

 

 

 

자작 로스터로 검색해 보면 국내에서도 가스렌지나 작은 토치 등을 이용해

 

생두를 직접 볶을 수 있는 로스터를 만드는 분들이 있는데,

 

아두이노와 잘 조합하면 완전자동 로스터도 제작이 가능할 듯 하다.

Posted by pashiran
TAG 취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집에 들고 들어와서 찬찬히 훑어보니.. 좀 많이 어이가 없습니다.

 

 

이런 류의 작업은 인터넷 의뢰받는곳이 그닥 많지 않고 주로 직접 찾아가거나

 

전화로 컨택하여 도면을 보내거나 해야 하는데

 

 

 

제 사정상 도면만 보내기에는 거리가 가깝고 직접 돌아다니기에는 약간 아슬아슬하게 멀어서

 

좀 퇴근하고 후다닥 달려가서 청계천 뒤지는 방법을 썼습니다만

 

 

 

아무래도 업체들이 문을 닫을 시간쯤에 도착하기 때문에 여유가 없어서

 

처음 들어간 집에서 도면 보여주고 가공비 흥정해서 대충 예상한 가격을 맞춰보고

 

도면을 맡긴 후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일주일이 흘러 오늘 찾아와서 집에 돌아와 확인했더니...

 

 

버(burr) 제거를 C 따듯이 해놓는 분이로군... 하는 생각이 드네요

 

 

 

 

 

 

 

어라? 이거 왜 중심에 안 뚫려있을까요?

 

 

 

 

 

 

 

그런데 반대쪽은 중심에 뚫려있었다는거;; 사장님... 바이스가 헐거운가보네요...

 

 

 

 

 

 

 

고정부품인데... 한쪽에서 8mm 정도 탭 파야하는데 관통해놓으시고..

 

 

 

 

 

 

실수로 한쪽에 살짝 파놓으시고...

 

 

 

 

 

 

 

 

네 그래요. 버 제거를 C 따내듯이 하다 보면 저런 자국이 생길수도 있는거죠....

 

 

 

 

 

 

 

저런건 어차피 조립하면 안보인다는거 알고 계셨나봐요.

 

 

 

 

 

 

 

 

 

C 따낸 부분인데 자국이 좀 이상해요.

 

 

 

 

 

 

 

설마 직접 들고 줄질하신걸까요.......얼핏 보면 C가 아니라 R 같아요

 

 

 

 

 

 

 

 

따내다 보면 얇은 부분은 좀 날아갈 수도 있는거죠..

 

 

 

 

 

 

 

 

 

세상이 너무 각잡혀있으면 얼마나 답답하겠어요?

 

직각이라도 조금의 약간씩 옆으로 틀어주고 꺾어지는 것도 삶의 여유에요

 

 

 

 

 

 

여기도 줄질하셨나봐요? 꼭 수공예로 만든 것 같은 느낌이군요

 

 

 

 

 

 

개인가공물이야 뭐 자투리 금속 쓰는거고 그러다 보면 흠집 좀 있는거야 당연한 거고요.

 

 

 

 

 

 

 

힘들고 지쳐 술한잔 먹고 작업하다 보면 한번 뚫는데 세번씩 잘못 찍는일도 있는거죠

 

 

 

 

 

 

기계가 좀 오래 되다 보니까 밀링한번 미는데 저렇게 흔적이 남을수도 있는거에요

 

 

 

 

 

 

 

저건 일부러 헤어라인 처리해주신거죠?

 

사포로 박박 미면서 힘들어 하셨을 사장님 생각하니 죄송할 따름이에요

 

 

 

 

 

 

 

이 부분은 도면이랑 아예 다르게 나왔지만... 뭐 괜찮아요

 

 

 

 

 

 

기어축은 참 깔끔하네요... 그나마 다행이에요

 

 

 

 

 

키 홈 옆면의 자국은 마치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게 해주는 골동품의 포스가 느껴져요

 

 

 

 

 

 

거기다 중심에서 살짝 어긋나게 삐딱하게 파놓으셨으니 키를 아주 단단하게 잘 물고 있겠군요...

 

 

 

 

 

 

아... 가공업체 많이 다녀본건 아니지만 이런 작품은 정말 처음 봅니다...

 

대림상가 옆골목 대명정밀 사장님... 정말 감탄할 따름입니다.

 

 

 

 

 

 

 

 

 

 

 

 

 

 

 

 

 

 

 

 

 

 

 

 

 

아 C8

Posted by pashiran
TAG 취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몇가지 재료가 필요해 퇴근길에 후다닥~ 청계천으로 뛰어갔습니다.

 

세운상가에서 대림상가 오른쪽길로

 

 

 

 

 

 

 

 

 

 

 

 

 

 

 

 

 

 

 

 

 

 

 

 

 

 

조금 내려가다 오른쪽 샛길로 들어가서 10미터쯤 가면

 

 

 

 

 

 

 

 

 

 

 

 

 

 

 

 

 

볼트 판매점이 있습니다.

 

뭐 딱히 추천한다거나 하는건 아닌데 다른 일로 지나다가 몇번 보고는 스텐볼트를 주로 취급하길래

 

언젠가 스텐볼트가 필요할때 가보면 이상하게 길을 헤매게 되더군요;;

 

사진찍고 지도링크까지 걸면 헷갈리지는 않겠지요.

 

 

 

 

##########3*
지도를 클릭하시면 위치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도상에서 국민은행 왼쪽 샛길사이.

 

 

 

 

 

아쉽게도 스텐볼트는 낱개판매를 안해서...

 

가끔 필요하긴 했지만 그래도 한주먹만큼만 있으면 될 물건을 한봉다리씩 사야만 했습니다.

 

혹시나 스텐볼트 필요하신 분 있으면 우리 집앞에 와서 전화하시면 한주먹씩 드릴수 있음 ㅡ,.ㅡ

 

3*8 십자볼트랑 3.5*12 십자비스 / 각각 15,000\

 

401 작은병 4개 8,000\ 와 경화촉진제 12,000\

 

영풍문고에서 시트지 2,000\

 

대성재료상사에서 0.6/0.8mm 드릴날, 다이아 원형디스크비트 (얼마더라..?)

 

 

 

거의 3km를 걸었더니 다리가 초큼 뻐근..

'Making > 전기 자전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전기 케이스 #2  (0) 2011.09.18
충전기 케이스 #1  (0) 2011.09.18
기타등등  (0) 2011.09.18
충전기 50% 완성.  (0) 2011.09.18
monkeylectric의 POV 가 업그레이드되었군요.  (0) 2011.09.18
충전기 제작중 2  (0) 2011.09.18
Posted by pashiran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요런 스피커(검정색)을 작업실에서 작업할 때 사용중입니다.

 

보통 핸폰 DMB 라디오 틀어놓고 음악들으면서 작업하지요.

 

그런데 그러다 보면 좀 선이 복잡합니다. DMB 청취시는 핸드폰 배터리를 매우 많이 먹기 때문에

 

충전기를 꽂아야 하고 그러려면 이어폰 연결 젠더를 꽂을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어폰 연결도 되고 충전도 되는 듀얼 젠더를 꽂아야 합니다.

 

 

 

 

그리고 저 젠더에 연결한 선을 스피커로 연결하고,

 

다시 스피커용 전원선도 연결해야 하죠.

 

 

그러니까 핸드폰과 스피커 갖다놓고 쓰는 선이

 

핸폰 충전코드, 핸폰-스피커 연결코드, 스피커 전원선 3가닥이고

 

어댑터는 2개나 필요합니다.

 

어차피 고정해놓고 쓰긴 하지만 좀 많이 번잡스럽죠 

 

그래서

 

 

 

이런게 있으면 참~ 좋겠습니다만

 

 

 

 

 

 

 

 

 

 

이거 살돈에 조금만 보태면 아이폰 사겠네요.

 

 

 

 

 

그런데 집에 이런게 있습니다.

 

http://www.dealextreme.com/details.dx/sku.8422

 

 

 

페이팔 수수료 포함해도 대략 1.6만원에 구입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에다 무료배송에

 

별도의 이어폰을 사용한다는 조건이긴 하지만 음질도 꽤 괜찮게 나오죠.

 

디자인이 아이팟 짝퉁이라는 치명적 단점만 빼면 가격대 성능비가 아주 좋은 녀석인데

 

한동안 들고다니지 않은 이 녀석을 이용해서 블투스피커를 만들어볼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무선스피커에 전원이 연결되면 별 의미가 없죠.

 

전기자전거용으로 구매했다 실패해버려서 잉여가 되어버린 리튬폴리머 배터리 4550mA 짜리와

 

스피커, 블투수신기를 준비합니다.

 

 

 

 

 

 

 

 

 

 

블투모듈은 분해가 간단합니다. 위아래 떼고 열면 탁 열리네요.

 

 

 

 

 

 

 

 

 

 

 

반면 스피커는 아무리 봐도 볼트가 없길래

 

아... 이거 고생좀 하겠는걸 했는데 역시나 잘 열리지 않았습니다.

 

보통 저런 부품의 접합은 3가지 방식이더군요. 볼트결합이거나 걸림쇠 방식이거나, 본딩이거나.

 

볼트결합이 당연히 제일 풀기 쉽고

 

걸림쇠 방식도 한쪽을 일자 드라이버로 열거나 때려주면 쉽게 열립니다만

 

본딩 방식은 말 그대로 본드로 붙여놨거나 초음파 용착으로 붙여놓은 것들이라 상당히 안 열립니다.

 

접합면을 세로로 세워놓고 망치로 땅땅 치다 보면 열리긴 합니다만..

 

케이스의 손상은 피할 수 없습니다.

 

 

 

 

 

 

 

 

 

 

 

 

 

혹시나 해서 블투 모듈(4극 입력) 케이블의 배선도를 체크해 놓는 중입니다.

 

별 필요는 없을 것 같고 배터리는 스피커와 공용으로 사용하면 될 것 같네요.

 

 

 

 

 

 

 

 

 

 

 

테스트 연결해놓고 한번 틀어봤습니다.

 

 

 

 

 

 

핸드폰으로 블루투스 음악전송하면서 동영상 찍었습니다.

 

음질이야 뭐 2만원도 안되는 스피커에 블루투스로 연결한 거라 좋지는 않습니다만

 

잘 만들어 놓으면 쓸만할 것 같습니다.

 

 

'Completed > Bluetooth Spea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투스 스피커 만들기 2 [완성]  (1) 2011.09.10
블루투스 스피커 만들기 1  (0) 2011.09.10
Posted by pashiran
이전버튼 1 이전버튼

티스토리 툴바